<애드센스> 대표적인 온라인 마케팅 용어( CPC, CTR, CPP, CPT, CPM) 광고 진행시 알아두면 좋은 용어 정리!
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마케팅

대표적인 온라인 마케팅 용어( CPC, CTR, CPP, CPT, CPM) 광고 진행시 알아두면 좋은 용어 정리!

온라인 마케팅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온라인 마케팅 업무를 하다 보면

마케팅 용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온라인 마케팅에서 쓰는

약자들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용어입니다. 

 

대표적인 광고 매체는

네이버 파워링크에 노출되는 광고를

한번 클릭했을 때 지불해야 하는

광고비를 말하는 것입니다. 

 

클릭당 비용은 동일한 금액으로 책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키워드별 트래픽

상태와 현재 노출되고 있는 순위에 따라서

내가 지불해야 하는 클릭 당비용이 정해집니다.

보통은 광고비 예산을 짤 때 함께

CPC가격에 대해서도 논의하곤 합니다. 

 


♣ CTR ( Click Through Rate) 

 

클릭률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용어입니다. 

 

클릭률 계산 공식 : (클릭수/노출수*100)

 

클릭률은 현재 노출수 대비

진행 중인 광고가 얼마큼의 클릭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대부분 광고를 진행했을 때

클릭률이 높게 나온다고 하면

5% 내외라고 보시면 됩니다. 

 

클릭률이 높은 광고는 광고 진행하는

상품과 키워드 또는 이미지 광고가 매우 정밀하게

세팅이 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따라서 클릭률을 높이기 위해

키워드 및 이미지 광고의 경우 지속적인

수정을 통해서 관리를 해주는 것입니다. 


♣ CPS (Cost Per Sale) 

판매당 비용이라는 의미의 용어입니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선결제

후 관리 원칙으로 운영됩니다.

 

하지만 CPS 방식으로도 가끔씩

진행해드리는 경우가 있지만

방식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잘해주지는 않습니다.

원인은 CPS 방식은 광고를

집행해야 하는 광고비를 광고주가

아닌 대행사가 먼저 지불해서 광고를 집행합니다.

 

그리고 추후에 광고비에 지불된 금액을

매출이 발생한 금액에서 받는 방식이지만

광고주가 주지 않게 되면 대행사 입장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리스크가 있으며

따라서 광고대행사들에서는 원하지

않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CPP or CPT (Cost Per Period or Time) 

기간제 광고를 진행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광고에는 다양한 상품이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CPP or CPT 방식으로 광고를 집행하는 경우는

노출할 수 있는 위치는 제한적이면서

업체 홍보에는 정말 효과가 좋은 경우

진행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네이버 검색창 하단의 타임 배너입니다. 


♣ CPM (Cost Per Millennum)

광고 노출 회수당 지불하는 방식의 광고를 의미합니다. 

 

CPM 방식의 광고는 1,000회 노출당

광고비를 지불하는 방식이며

광고비가 2,000원인 경우

1회 노출당 2원인 것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CPM 광고는 홈페이지 유입

및 전환을 목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업체를 알려야 하고 업체를 외부에

노출시켜야 하는 경우 진행하며 CPM으로

광고를 집행하였을 때 노출까지만

책임을 지는 것이며 추후에 노출 후 유입과

관련된 모든 것은 광고주가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CPC, CTR, CPP or CPT, CPM은

온라인 광고를 진행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들입니다. 

 

수많은 광고주 분들의 성공을 바라면서 마무리할게요~